250x250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지니의 정보창고

2023년 9월 25~26일 주식마감. 본문

경제

2023년 9월 25~26일 주식마감.

구름속에뜬별 2023. 9. 26. 08:54
728x90
반응형
SMALL

2023년 9월 25일 한국 주식 시장은 전반적으로 하락 마감했습니다.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0.62% 하락한 2,480,45에 마감했으며, 코스닥 지수는 0.95% 하락한 831.32에 마감했습니다.

 

2023년 9월 26일 미국 주식 시장은 전반적으로 상승 마감했습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일 대비 0.13% 상승한 3만 4,006.88.에 마감했으며, S&P 500 지수는 0.40% 상승한 4,337.44에, 나스닥 종합지수는 0.45% 상승한 1만 3,271.32에 마감했습니다.

미 증시, 국채 금리 급등에도 애플, 아마존의 힘으로 상승 전환

미 증시는 10년물 국채 금리가 다시금 4.5%를 넘어서는 등 급등을 보이자 하락 출발. 특히 연준 위원들이 전일에 이어 매파적인 발언을 이어가자 금리 상승폭이 확대. 그렇지만, 주식시장은 관련 이슈를 소화 후 아마존(+1.67%)의 AI 스타트업 기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 단행 소식에 주목하며 일부 관련 종목이 강세를 보였고, 애플(+0.74%)이 아이폰 15에 대한 선 주문 급증 소식에 상승하는 등 개별 종목 이슈에 반응을 보이며 상승 전환에 성공. 이후 주식시장은 보합권 등락을 보이며 개별 종목 장세 속 상승 마감(다우 +0.13%, 나스닥 +0.45%, S&P500 +0.40%, 러셀2000 +0.44%)

 

국제유가는 달러 강세 및 러시아의 수출 제한 조치 일부 완화 소식에 하락. 러시아는 선박용 벙커C유 중 유황 함량이 높은 연료 수출 제한을 해제하는 등 완화 정책을 발표. 가솔린, 난방유, 천연가스 등 여타 에너지 품목도 동반 하락. 반면, 유럽 천연가스 가격은 노르웨이 Gassco가 유전 폐쇄를 10월 2일에서 10월 8일까지 연장하여 천연가스 생산이 지연되었다는 소식에 급등. 유럽 천연가스 가격은 풍부한 재고에도 불구하고 기상 이변, 러시아 가스 수출 중단 등에 민감한 모습.

달러화는 미국 경제지표 부진과 독일 경제지표 개선에도 불구하고 여타 환율에 대해 강세. 중국 부동산 불안과 미국 셧다운 우려 등으로 인한 G2 국가의 경기 위축 가능성이 안전자산 선호심리를 자극한 데 따른 것으로 추정. 역외 위안화는 달러 대비 약세를 보인 가운데 브라질 헤알, 멕시코 페소 등 신흥국 환율도 동반 약세. 한편, 러시아 루블화는 환율과 연계된 수출 관세를 10월부터 도입한다고 발표하자 강세.

국채금리는 오스탄 굴스비가 높은 금리의 장기화 가능성을 언급한 데 이어 무디스가 셧다운이 신용에 부정적인 사건이라고 경고하자 급등. 여기에 독일의 국채 금리가 급등하는 등 유럽 국가들의 금리가 급등한 점도 미국 국채 금리 상승에 대한 기대를 높임. 특히 9월 FOMC 이후 연준의 추가적인 금리 인상과 높은 금리 장기화 발표 등도 시장 참여자들의 투자심리에 영향.

금은 달러 강세 및 국채 금리 급등 여파로 하락. 구리 및 비철금속은 중국 부동산 우려 확대로 하락. 곡물은 밀과 옥수수는 우크라이나 오데사 항구에 대한 러시아의 공격으로 상승. 다만 러시아의 값싼 밀 수출과 브라질의 공급 증가 등으로 상승이 확대되지는 않음. 대두도 소폭 상승. 중국 상품선물시장 야간장에서 철광석은 2.11%, 철근은 0.86% 하락.

 

SMALL

MSCI 한국 지수 ETF는 0.30%, MSCI 신흥 지수 ETF는 0.44% 하락.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337.60원으로 이를 반영하면 달러/원 환율은 1원 상승 출발 예상. Eurex KOSPI200 선물은 0.12% 하락. KOSPI는 0.3% 내외 상승 출발

미 증시는 국채 금리가 급등 했음에도 불구하고 애플과 아마존 등 개별 기업들의 강세로 상승 마감해 한국 증시에 우호적. 특히 애플 아이폰 15 시리즈의 선주문 급증 소식은 애플 부품주에 우호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 더불어 아마존의 AI 스타트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는 대형 기술주들이 AI 산업에 진정성 있게 대응하고 있음을 보여준 사례인만큼 관련 기업들에게도 우호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

물론, 전일 하락 요인 중 하나였던 중국 부동산 이슈가 불안 심리를 자극하고 있어 한국 증시 강세는 제한. 여기에 미 의회조사국이 셧다운이 진행될 경우 일주일에 GDP 성장률 0.15%p가 하락하는 효과가 있다고 주장한 점도 주목. 결국 중국 부동산과 미국 셧다운은 G2 국가의 경기 위축 우려를 자극할 수 있음.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