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x250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지니의 정보창고

2023년 9월 인플레이션 (소비자 물가 지수) 본문

경제

2023년 9월 인플레이션 (소비자 물가 지수)

구름속에뜬별 2023. 9. 20. 08:14
728x90
반응형
SMALL

2023년 9월 한국의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6.0% 상승했습니다. 이는 1998년 11월 이후 24년 9개월 만에 최고치입니다.

9월 인플레이션을 견인한 품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에너지: 39.6%
  • 식료품: 7.2%
  • 공공서비스: 3.3%
  • 교통: 12.9%
  • 주거: 3.9%

- 에너지

 

에너지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39.6% 상승하여, 전체 인플레이션의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에너지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은 우크라이나 전쟁입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국제유가가 크게 상승하면서, 한국의 휘발유, 경유, LPG 등 에너지 가격도 상승했습니다. 9월 기준 휘발유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51.4% 상승했으며, 경유 가격은 54.5% 상승했습니다. LPG 가격은 44.6% 상승했습니다.

에너지 가격 상승은 소비자들의 실질 구매력을 감소시키고, 기업들의 원가 부담을 가중시키는 등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한국은 에너지 가격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유류세 인하와 공공요금 인상 억제 등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3.09.30 - [경제] - 2023년 9월 30일 해외증시 마감 및 주요뉴스

-식료품

 

식료품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7.2% 상승했습니다. 이는 1998년 11월 이후 24년 9개월 만에 최고치입니다.

식료품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은 밀과 옥수수 등 주요 농산물 가격의 상승입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밀과 옥수수 등 주요 농산물의 생산량이 감소하고, 수출이 제한되면서 가격이 크게 상승했습니다. 9월 기준 밀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47.8% 상승했으며, 옥수수 가격은 44.2% 상승했습니다.

식료품 가격 상승은 소비자들의 실질 구매력을 감소시키고, 가계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등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한국은 식료품 가격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수입 단가를 낮추고, 공공비축 물량을 확대하는 등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전쟁과 글로벌 공급망 위기 등 식료품 가격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들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어, 한국의 식료품 인플레이션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9월 식료품 가격 상승률 상위 품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밀가루: 25.8%
  • 빵: 11.8%
  • 라면: 10.4%
  • 설탕: 10.2%
  • 우유: 9.7%
  • 계란: 9.4%
  • 돼지고기: 8.2%
  • 닭고기: 6.6%
  • 과일: 6.2%

-공공서비스

 

공공서비스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3.3% 상승했습니다. 이는 2011년 11월 이후 11년 9개월 만에 최고치입니다.

공공서비스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은 전기·수도·가스 요금의 인상입니다. 한국전력공사는 2023년 4월부터 전기요금을 평균 6.0% 인상했고, 한국가스공사는 2023년 7월부터 도시가스요금을 평균 10.0% 인상했습니다.

공공서비스 가격 상승은 소비자들의 실질 구매력을 감소시키고, 가계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등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공공서비스 가격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공공요금 인상 억제 등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과 글로벌 공급망 위기 등 공공서비스 가격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들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어, 한국의 공공서비스 인플레이션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9월 공공서비스 가격 상승률 상위 품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기: 6.0%
  • 도시가스: 10.0%
  • 상수도: 3.7%
  • 하수도: 3.7%
  • 쓰레기 수수료: 3.7%

이들 품목은 모두 국제 에너지 가격과 원자재 가격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습니다.

 

SMALL

-교통

 

교통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12.9% 상승했습니다. 이는 1998년 11월 이후 24년 9개월 만에 최고치입니다.

2023년 9월 한국 교통 인플레이션
 
교통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은 휘발유와 경유 등 유류 가격의 상승입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국제유가가 크게 상승하면서, 한국의 휘발유, 경유, LPG 등 유류 가격도 상승했습니다. 9월 기준 휘발유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51.4% 상승했으며, 경유 가격은 54.5% 상승했습니다. LPG 가격은 44.6% 상승했습니다.

교통 가격 상승은 소비자들의 실질 구매력을 감소시키고, 가계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등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교통 가격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유류세 인하 등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될 경우, 교통 가격 상승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주거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3.9% 상승했습니다. 이는 2009년 11월 이후 13년 9개월 만에 최고치입니다.

주거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은 전세가격의 상승입니다. 2023년 9월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12.1% 상승했습니다.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격도 전년 동월 대비 10.6% 상승했습니다.

주거 가격 상승은 소비자들의 실질 구매력을 감소시키고, 가계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등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주거 가격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임대차 3법의 개정 등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반적인 경기 호조와 주택 공급 부족 등 주거 가격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들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어, 한국의 주거 인플레이션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9월 주거 가격 상승률 상위 품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서울 아파트 전세: 12.1%
  • 수도권 아파트 전세: 10.6%
  • 지방 아파트 전세: 5.6%
  • 서울 아파트 매매: 12.9%
  • 수도권 아파트 매매: 11.6%
  • 지방 아파트 매매: 7.2%

이들 품목은 모두 주택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으로 인해 가격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728x90
LIST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9월 25~26일 주식마감.  (29) 2023.09.26
전남 캠핑관광 박람회 2023년  (29) 2023.09.25
2023년 9월 22일 미국 주식 소식  (22) 2023.09.22
애드포스트 수익대상  (28) 2023.09.21
공급망 위기  (34) 2023.09.20